본문 바로가기

AWS4

EC2에서 RDS 접속하기 프로젝트를 하면서 ec2에서 res의 값을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https://every-word.tistory.com/27 aws 배포 - EC2, RDS, ElastiCachehttps://every-word.tistory.com/25 aws 배포 - vpc 생성하기이번에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aws 에 배포하려고 한다.이런식으로 aws ec2에 프로젝트 도커 이미지를 저장하고, rds와 elasticache를 사용하려고 한다.그every-word.tistory.com에서 설정한 것 처럼 ec2와 rds를 연결한 상황이다 ec2 데시보드에서 인스턴스를 선택한 뒤 연결을 클릭한다설정을 확인한 뒤 연결을 클릭잠시 기다리면 콘솔 창으로 이동할 수 있다sudo apt updatesudo apt upat.. 2025. 5. 15.
aws 배포 - EC2, RDS, ElastiCache https://every-word.tistory.com/25 aws 배포 - vpc 생성하기이번에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aws 에 배포하려고 한다.이런식으로 aws ec2에 프로젝트 도커 이미지를 저장하고, rds와 elasticache를 사용하려고 한다.그러기 위해서 AWS 리소스(RDS, EC2, ElastiCache 등)를 안every-word.tistory.com저번에 vpc를 생성한 다음에 이번에는 spring boot 도커 이미지를 올릴 EC2, MySQL로 사용할 RDS, Redis로 사용할 ElastiCache를 설정하려고 한다. EC2 생성인스턴스 생성을 클릭ec2 이름을 작성해 준다os 환경으로 ubuntu를 설정해 주고, Amazon Machine image를 프리 티어 사용 가능한걸로.. 2025. 3. 14.
aws-EC2 public ip 설정 퍼블릭 ipv4를 다시 설정하는 방법을 써보려고 합니다 퍼블릭 ipv4와 탄력적 ip 모두 외부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둘의 차이점은 퍼블릭 ip는 ec2 인스턴스가 종료 되거나 재부팅 되면 주소가 바뀌고, 탄력적 ip는 주소가 바뀌지 않지만 시간당 요금이 발생한다.그래서 기존에 퍼블릭 ipv4 없이 탄력적 ip만 사용하던 프로젝트의 퍼블릭 ipv4를 다시 설정하려고 한다.인스턴스의 주소를 클릭해서 인스턴스 요약으로 이동하고, 하단의 네트워킹을 클릭한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d를 클릭해서 이동한다작업-> ip 주소 관리 클릭퍼블릭 ip 자동 할당을 클릭하여 다시 할당해 주면 된다.이때 ec2 인스턴스를 재부팅 해줘야 할당된 퍼블릭 ip가 반영된다. 2025. 3. 12.
aws 배포 - vpc 생성하기 이번에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aws 에 배포하려고 한다.이런식으로 aws ec2에 프로젝트 도커 이미지를 저장하고, rds와 elasticache를 사용하려고 한다.그러기 위해서 AWS 리소스(RDS, EC2, ElastiCache 등)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가상의 네트워크 공간인 vpc를 먼저 만들어 줘야 한다. vpc 대시보드에서 vpc 생성 클릭 이런식으로 작성해주고 하단 주황색 vpc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vpc가 생성된다. 이후 vpc에 서브넷을 구성해 줘야한다.vpc 선택에서 아까 생성한 vpc를 선택한다 서브넷 설정은 공개/비공개 두개의 설정을 해줘야 한다.public-subnet-a1은 퍼블릭 서브넷 → EC2 배포 서버용 (인터넷 연결 O)private-subnet-a1은 .. 2025.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