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와 핵심 기능이 정해졌다면 다음으로 할 것은 앱을 만들기 쉽도록 기능을 자세하게 만들고 다듬는것 이다.
기능 명세서 & 프롤우차트
단순히 핵심 기능을 정했다고 프로젝트를 만들기 시작하면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기능명세서와 플로우차트를 활용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했다.
기능 명세서는 노션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만들었고, 플로우차트의 경우는 피그마의 피그잼을 활용하여 그렸다.

먼저 기능 명세서를 만들어서 이 프로젝트에 어떤 기능을 만들것인지 구체적으로 정했다.

이후 기능명세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앱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플로우차트로 그렸다.
참고 블로그
- https://minery.tistory.com/8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CP docker 컨테이너에 있는 MySQL 접속하기 (0) | 2024.12.01 |
|---|---|
| 스프링 시큐리티 인증(ajaxAuthenticationFilter, jwt, oauth2) (0) | 2024.09.20 |
| [기록] Music Place - DB 설계 (0) | 2024.04.04 |
| [기록] Music Place - 와이어 프레임 (0) | 2024.04.04 |
| [기록] Music Place - 주제 정하기 (0) | 202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