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서비스 모니터링의 다음 단계

by jucheol 2025. 11. 6.

‘좋은 Metric’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법

Prometheus와 Grafana를 이용하면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시각화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엇을 측정할지, 왜 측정하는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즉, **좋은 Metric(측정 지표)**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 사이클을 운영하는 것이 핵심이다.


🧭 1. 성능 측정의 출발점 — 목표 정의

모니터링의 목적은 “문제를 감으로 파악하지 않고 수치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 시작은 명확한 목표 정의다.

다음 질문에 먼저 답해야 한다.

질문예시 답변
어떤 성능을 개선하고 싶은가? API 응답 속도, 페이지 로딩 시간, 서버 처리량 등
사용자 입장에서 중요한 지표는 무엇인가? 실제 유저의 응답 대기 시간, 에러율
서버 입장에서 중요한 지표는 무엇인가? CPU 사용량, Memory, DB Query 시간 등

이 과정에서 목표를 구체적인 수치(Metric)로 변환해야 한다.
예를 들어 “API가 느리다”는 막연한 표현 대신, 이렇게 정리해야 한다.

“P95 응답 시간이 1.5초 이상이다. 이를 0.7초 이하로 낮추자.”

이처럼 측정 가능한 목표가 있어야 이후의 개선 방향이 명확해진다.


⚙️ 2. 측정할 Metric 설계 — 좋은 Metric의 기준

좋은 Metric은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의미 있는 행동을 유도하는 지표여야 한다.
다음 네 가지 기준이 대표적이다.

조건설명예시
명확성 (Clarity) 무엇을 측정하는지 명확해야 함 “API 응답 시간(ms)”
측정 가능성 (Measurability) 실제 도구로 수집 가능해야 함 Prometheus, CloudWatch, Grafana
행동 유도성 (Actionability) 지표가 개선 방향을 제시해야 함 “P95 응답 시간↑ → 캐싱/쿼리 최적화 필요”
일관성 (Consistency) 같은 방식으로 지속 측정 가능해야 함 요청 단위별 평균, 백분위수 기준 유지

📏 3. 주요 성능 Metric 예시

측정 지표는 일반적으로 Application / Database / Infrastructure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눈다.

🧩 Application Level

Metric의미도구
Response Time (P50, P90, P95, P99) 요청 처리 지연 시간 분포 Micrometer, Prometheus
Throughput (RPS) 초당 처리 요청 수 JMeter, k6
Error Rate 실패 요청 비율 APM, ELK Stack
Thread Pool Usage 동시 처리량 확인 Spring Boot Metrics

🗃️ Database Level

Metric의미도구
Query Latency 쿼리 실행 지연 시간 MySQL Performance Schema
Slow Query Count 느린 쿼리 발생 횟수 Slow Query Log
Connection Pool Usage DB 연결 자원 활용률 HikariCP Metrics

☁️ Infrastructure Level

Metric의미도구
CPU / Memory / Disk I/O 서버 리소스 병목 탐색 Node Exporter, Grafana
Network Latency 네트워크 지연 시간 ping, traceroute
GC Pause Time GC로 인한 일시 중단 시간 Micrometer, JVM 로그

🧪 4. 측정 도구 세팅 (MVP 수준으로 시작)

모니터링은 처음부터 복잡하게 시작할 필요가 없다.
작게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좋다.

목표추천 스택
간단한 모니터링 Spring Actuator + Micrometer + Prometheus + Grafana
트랜잭션 단위 분석 New Relic, Datadog, Pinpoint
부하 테스트 JMeter, k6, Locust

실행 순서 예시
1️⃣ JMeter로 실제 트래픽 시나리오 부하 테스트
2️⃣ Prometheus + Grafana로 주요 Metric 시각화
3️⃣ 문제 지점 식별 → 개선 (캐싱, 인덱스, 비동기 처리 등)
4️⃣ 개선 후 같은 Metric으로 재측정 (Before vs After 비교)


🔍 5. Metric 기반 성능 개선 사이클

모니터링의 핵심은 측정 → 개선 → 재측정의 반복 구조다.
한 번 측정하고 끝내면 단순 리포트일 뿐이다.

 
[목표 정의][Metric 선정][데이터 수집][병목 분석][개선 적용][재측정 / 비교] → 다시 [Metric 선정]

이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지표 기반으로 서비스를 성장시킬 수 있다.


📈 6. 측정 시 주의할 점 (실무 팁)

항목주의 포인트
테스트 환경 분리 부하 테스트는 반드시 staging 환경에서 진행
데이터 수집 주기 너무 짧으면 노이즈가 많고, 너무 길면 트렌드 파악이 어려움
Metric 해석의 맥락 CPU 90%가 항상 문제는 아님. GC나 일시적 부하일 수 있음
Leading / Lagging 구분 “DB 쿼리 시간”은 선행(Leading), “응답 지연율”은 후행(Lagging) 지표
Metric 재검토 주기 서비스 성장에 따라 지표 기준도 변경 필요

💬 Metric 개념 정리 — 왜 측정이 중요한가

프로젝트나 시스템을 운영할 때 감각이나 추측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인 수치를 통해 상태를 관리해야 한다.
Metric은 이 객관화를 위한 핵심 도구다.

하지만 “좋은 Metric”을 설계하지 않으면 오히려 잘못된 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릭 수’만 늘리면 품질이 떨어지는 콘텐츠가 양산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표에 의존하지 말고 복수의 보완 지표를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하다.


🎯 좋은 Metric의 특징 요약

항목설명
명확성 무엇을 언제 측정하는지 분명해야 함
일관성 같은 기준으로 지속 측정 가능해야 함
행동 유도성 개선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함
비용 효율성 측정 비용이 과도하지 않아야 함

⚠️ Metric 설계 시 주의해야 할 함정

주제설명
상관관계 vs 인과관계 구분 두 지표가 함께 움직인다고 해서 원인이 같다고 단정할 수 없음
지표 왜곡 / 조작 위험 숫자 달성을 목표로 한 인위적 조작 가능성 존재
데이터 신뢰성 로그 누락, 중복 집계 등 오류 방지 필요
지표 업데이트 주기 환경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재설정 필요
보완 지표 도입 단일 지표의 한계를 다른 지표로 보완

🧩 모니터링의 본질은 ‘지속적 개선’이다

Prometheus와 Grafana는 모니터링의 기반이다.
그러나 모니터링의 진짜 목적은 데이터를 보는 것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를 통해 개선하는 것이다.

  • 목표를 수치로 정의한다.
  • 의미 있는 Metric을 설계한다.
  •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병목을 찾는다.
  • 개선 후 다시 같은 Metric으로 검증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서비스의 성능과 안정성을 수치 기반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모니터링은 단순히 “문제를 감시하는 행위”가 아니라,
서비스 품질을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방법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