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에서 팀원 구인 글을 보고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처음 모집된 팀원은 디자이너1, 프론트2, 백엔드2를 모집하였지만, 생각의 차이로 디자이너가 팀에서 나가게 되었다.
(이때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 이야기 하는것이 정말 어렵다는 것을 크게 느꼈다. 지금까지 백엔드를 하고 있는 친구와 프로젝트를 진행했었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나름 잘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아에 모르는 사람들과 온라인으로 대화를 하다보니 더 그렇게 느껴진것 같다 )
회의를 통해 납부하고 있는 요금들을 기록하고 알려주는 서비스를 만들기로 했다.
디자이너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모든 팀원들이 디자인을 다 같이 진행하기로 해서 1주일 정도 모두 디자인을 진행하기도 했다.
백엔드 부분에서 가장 처음 진행했던 회의가 어떤 기술들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거였다.
백엔드 기술스택
언어: Java21
프레임워크 및 라이브러리: SpringBoot, SpringDataJPA, QueryDSL
인증 및 보안: Session, SpringSecurity
데이터베이스 및 캐시: MySQL, Redis, H2(테스트코드)
도구 및 테스트: Swagger, JaCoCo, Docker
위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기로 했다.
docker-compose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이 부분은 내가 잘 모르는 부분이라 다른 팀원분께서 초기 설정을 진행해 주시기로 하셨다.
깃허브 커밋 메시지 규칙

커밋 규칙은 저번 프로젝트 부터 사용하던 방식을 사용하기로 했다.
ex ) git commit -m “ feat : ~ 기능 추가”
패키지 생성 방식

패키지 생성 방식은 계층형과 도메인 방식이 있었는데 도메인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개인적으로 도메인 방식이 더 깔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전체적인 프로젝트 일정 관리는 지라를 통해서 진행하기로 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같은 타임라인을 사용하는게 맞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설명문 앞에 front, back을 붙여 구분하기로 했다.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꾸똑(구독을 똑똑하게) - Security(Redis & Session) (0) | 2025.01.15 |
|---|---|
| 꾸똑(구독을 똑똑하게) - ExceptionHandler (0) | 2025.01.11 |
| music place 프로젝트 소개 (0) | 2024.12.01 |
| git actions로 gcp에 프로젝트 배포하기 (0) | 2024.12.01 |
| GCP docker 컨테이너에 있는 MySQL 접속하기 (0) | 2024.12.01 |